학습을 위한 문서 📚

학습을 위한 문서는 독자가 새로운 기술이나 도구를 배울 수 있도록 돕는 문서예요. 이 문서를 읽으면 읽는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상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해요.

1. 처음부터 끝까지 막힘없이 진행할 수 있어야 해요

  • 독자가 따라하다가 막히거나 오류가 나면 안돼요. 마지막 단계까지 문제 없이 따라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학습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 모든 예제 코드는 실제로 실행해보고 검증했으며, 필요한 준비 사항도 꼼꼼히 안내해야 해요.

2. 단계별로 설명해요

  • 독자가 차근차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조를 만들어요.
  • 예제도 간단한 것부터 점진적으로 난이도를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3. 실행 가능한 코드 예제를 포함해요

  • 단순히 개념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실행 가능한 예제 코드를 포함하세요. 예제는 핵심 기능을 잘 드러내야 하고, 독자가 직접 실행해보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학습 문서에 실행할 수 있는 예제가 있는지 여부는 문서 경험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소예요.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코드가 있으면 코드 사용법에 대한 이해를 직관적으로 할 수 있고 바로 프로젝트에 가져다 쓰기도 편리하기 때문이에요.

이해하기

예시를 보면서 학습을 위한 문서를 쓰는 법을 간단히 익혀봐요.

첫 번째 예시는 React 시작하기 문서예요.

1# React 시작하기   React는 컴포넌트 기반으로 UI를 만들 수 있는 라이브러리예요.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React 프로젝트를 실행해보고 동작 방식을 이해해요. ## React 실행하기 2### 1️. 프로젝트 만들기 npx create-react-app my-appcd my-appnpm start 개발 서버가 실행된 후,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3000`을 열어 React 기본 화면을 확인하세요. ## React에서 화면을 만드는 방법 React에서는 컴포넌트라는 개념을 사용해서 화면을 구성해요. 컴포넌트는 UI의 가장 작은 단위예요. ### 기본 컴포넌트 만들기 `src/App.js` 파일을 열고 내용을 아래처럼 바꿔보세요. 3function App() {  return <h1>안녕하세요! React를 시작해 봅시다.</h1>;} export default App; 파일을 저장한 후, 브라우저를 새로고침하면 React 기본 화면 대신 "안녕하세요! React를 시작해 봅시다."라는 문구가 표시됩니다. ## 직접 컴포넌트 만들기 1. `src` 폴더 안에 `Welcome.js` 파일을 생성하세요.2. 다음 코드를 입력하고 저장하세요. function Welcome({ name }) {  return <h2>안녕하세요, {name}님!</h2>;} export default Welcome; 이제 `App.js`에서 새로운 `Welcome` 컴포넌트를 추가해보세요. import Welcome from "./Welcome"; function App() {  return (    <div>      <h1>React 학습을 시작해봅시다!</h1>      <Welcome name="주연" />    </div>  );} export default App;
1
필수 개념과 기본 사용법을 안내해요. 문서의 학습 목표를 명확히 제시해야 해요.
2
가장 기본적인 설치 및 기본 설정을 안내해요. 실행 후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도 알려주세요.
3
사용자가 최소한의 코드로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요. 실행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도 알려주세요. 각 단계를 잘 완료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결과를 명확히 알려줘야 독자 스스로 각 단계를 성공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시작하기와 튜토리얼의 차이점

학습을 위한 문서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어요. 시작하기와 튜토리얼이에요. 비슷하게 보이지만 조금 달라요.

시작하기 문서는 처음 접하는 독자가 주요 흐름 및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문서예요. 내용으로는 간단한 설치 및 설정 안내나 필수 흐름 및 개념이 소개되어야 하고,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해요. 튜토리얼 문서는 명확한 목표와 결과물이 있어서 단순히 흐름을 익히는 시작하기보다 더 구체적이죠. 각 단계를 따라 하면서 자연스럽게 개념을 익히고, 코드를 실행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 분류는 엄격한 것은 아니에요. 만약 주요 흐름이나 개념, 설치와 설정이 아주 간단하다면 튜토리얼 문서의 초반에 포함되기도 해요.

더 나아가기

학습을 위한 문서는 성공적인 학습 경험에 집중하는 문서라서 실제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문제와는 거리가 멀어요. 또, 모든 정보를 한 문서에 담으려다 보면 복잡도가 높아지고 집중하기 어려워요. 이 문제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FAQ 섹션 제공

튜토리얼에는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정만 포함하고,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책을 문서 마지막에 FAQ 섹션으로 추가합니다. 이렇게 하면 튜토리얼 본문은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독자가 부딪힐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요.

접어둘 수 있는 컴포넌트 활용하기

튜토리얼 문서가 길어지면 독자가 핵심 내용을 빠르게 따라갈 수 있도록 일부 내용을 접어두는 방식이 유용할 수 있어요. 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뿐만 아니라 부가 설명, 추가 예제, 심화 개념을 숨겼다가 필요할 때 열어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어요.

체크리스트

  • 학습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했나요?
  • 직접 따라 해 봤을 때 오류가 생기지는 않나요?
  • 단계별로 설명되어 있나요?
  • 읽는 사람이 직접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예제가 포함되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