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ct의 가상 DOM 작동 원리 1React의 가상 DOM(Virtual DOM)은 UI 변경을 효율적으로 감지하고 최소한의 변경만 실제 DOM에 반영하는 방식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고 빠른 UI 업데이트를 제공합니다. ## 가상 DOM이 등장한 배경 웹 애플리케이션이 복잡해지면서, 기존의 DOM 조작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DOM 조작 비용이 크다: 직접적인 DOM 변경이 많아질수록 브라우저의 렌더링 성능이 저하됩니다.- 전체 페이지 리렌더링 문제: 특정 부분만 변경해도 전체 UI가 다시 그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UI 성능 저하: 많은 DOM 업데이트가 발생하면 프레임 속도가 떨어지고 사용자 경험(UX)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React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 DOM을 도입했습니다. 가상 DOM을 활용하면 변경 사항을 먼저 계산하고, 최소한의 연산으로 실제 DOM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개념 가상 DOM(Virtual DOM)은 실제 DOM의 경량화된 JavaScript 객체 모델입니다. React는 UI 변경이 발생하면 이 가상 DOM을 업데이트한 후, 변경된 부분만 실제 DOM에 반영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빠른 연산 가능: 가상 DOM은 메모리에서 동작하므로 계산 속도가 빠릅니다.- 효율적인 업데이트: 변경 사항을 비교하여 최소한의 DOM 업데이트만 수행합니다.- 예측 가능성 향상: 선언적 UI 모델을 유지하면서도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합니다. 2### 작동 방식 가상 DOM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렌더링을 최적화해요. 1. UI 변경 감지: React는 컴포넌트의 상태(state)나 속성(props)이 변경되면 새로운 가상 DOM을 생성합니다.2. Diffing 알고리즘 적용: 이전 가상 DOM과 새로운 가상 DOM을 비교하여 변경된 요소를 찾습니다.3. 최소한의 변경만 반영: 변경된 부분만 실제 DOM에 적용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 과정은 React의 핵심 알고리즘인 Reconciliation(조정 과정)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 시각적 다이어그램 다음 다이어그램은 가상 DOM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요. 3🖥️ UI 변경 감지 ┌─────────────────────────────────┐ │ UI 변경 감지 │ │ (컴포넌트의 상태/props 변경 감지) │ └─────────────────────────────────┘ │ ▼⚙️ 가상 DOM 업데이트 ┌─────────────────────────────────┐ │ 가상 DOM 생성 및 업데이트 │ └─────────────────────────────────┘ │ ▼🔍 Diffing 알고리즘 적용 ┌─────────────────────────────────┐ │ 이전 가상 DOM과 비교하여 │ │ 변경된 요소 도출 │ └─────────────────────────────────┘ │ ▼💻 최소 변경 반영 (실제 DOM) ┌─────────────────────────────────┐ │ 변경된 부분만 실제 DOM에 반영 │ └─────────────────────────────────┘ 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Diffing 알고리즘입니다. React는 `key` 속성을 활용하여 변경된 노드를 빠르게 찾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코드 예제 React의 가상 DOM을 활용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javascript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Counter()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return ( <div> <p>현재 카운트: {count}</p>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증가</button> </div> );} export default Counter;``` 이 코드에서 `setCount`를 호출하면 React는 새로운 가상 DOM을 생성하고,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만 실제 DOM에 반영합니다. 가상 DOM은 Redux나 MobX 같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는 상태(state) 변경을 추적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UI를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합니다.
1
가상 DOM의 개념과 필요성을 명확히 설명해요.
가상 DOM의 개념과 기존 DOM 조작의 문제점을 명확히 짚어주고, 가상 DOM이 이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려줘요.
2
가상 DOM의 작동 방식을 논리적으로 정리해요.
단계별로 핵심 원리를 알려주고, 각 과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어요.
3
시각적 자료를 활용해 추상적인 개념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보완해요.